[칼럼:하나님의 교육명령] 세대 간 사역의 커리큘럼 문화

세대 간 사역의 커리큘럼 문화

세대 간 사역이란 무엇인가?

  ‘세대 간 사역’, 이 용어는 가정과 교회 그리고 세대와 세대가 동역하는 D6 운동이 있기 전까지는 없었던 생소한 것이었다. 때대로 교회 내의 어린이 사역이나 가정 사역과 연관시키지만, 이것은 세대 간 사역의 파트너가 될 수 있지만 사역의 범위는 충분하지 않다. 세대 간 사역은 주일 학교나 다음 세대만이 아니라 모든 세대, 전체 교회와 가정을 포괄한다. 그것은 사역의 영역이라기보다 교회의 문화적 특성에 가깝고, 세대와 세대가 연결된 세대 간 제자도 및  다양한 환경에서 세대 간의 경계를 넘어 의미 있는 연결을 위한 통합 공간을 소중히 여기고 창조하는 문화이다.

“세대 간 사역은 세대 간 공동예배, 세대 간 관계적 멘토십, 세대를 이어 지속할 평생 공동체와 같은 방식으로 여러 세대 간의 상호 작용을 허용하고 장려하는 사역에 대한 의도적인 접근 방식이다.”

교회가 신앙 공동체 내에서 세대 간 사역의 필요성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다음 질문에 답해야 한다. 각 연령대와 세대가 교회에서 필요로 하는 것은 무엇이며 각 세대가 교회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후자부터 시작하여 전자를 살펴 보겠다.

출생 연도와 삶의 경험을 바탕으로 개인을 특정 사회 집단으로 만들기 위해 그룹화하는 세대 이론에 의하면 침묵 세대(1924-1942년생), 베이비붐 세대(1943-1964년), X세대(1965-1980년), 밀레니얼 세대(1981-2000년), Z세대(2001-2010) 및 알파 세대(2011-현재)로 나눈다. 

이 여섯 세대는 교회를 위한 영적 신앙 및 공동체적 실천에서 독특한 경험을 제공한다. 이전 세대(침묵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는 풍부한 삶의 신실한 간증, 하나님이 행하신 약속의 증인으로서 언약 자손을 유지하는 규율을 가져온다. 중년 세대(X세대, 밀레니얼 세대)는 회전식 전화에서 초고속 인터넷 회의 및 최신 소셜 미디어 트렌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사용한 경험을 통해 과거 경험과 현재 경험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한다. 젊은 세대(Z세대와 알파 세대)는 역동적인 문화 환경에서 현재 문화의 열정과 영적 진리의 적용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각 세대는 고유한 필요 사항을 교회에 가져온다. 이전 세대의 유산 남기기에 대한 욕구는 이 세대에서 독특하게 발견되며, 자신의 유산을 남길 수 있는 사람들(젊은 세대)로부터 고립된 채로 남겨지는 것은 질식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중년 세대는 멘토십, 제자도 등 타인과의 깊은 관계 속에서 친밀함을 추구하지만 그러한 기회가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고립된 공간으로 후퇴하는 세대이다. 그리고 젊은 세대는 근면하고(공동체의 중요한 부분) 정체성(공동체에서 수행할 역할)을 찾을수 있는 위치를 찾고 있다. 따라서 신앙공동체는 어린이 교회, 청소년 모임과 같은 수평적 또래 뿐만 아니라 형제자매의 공동체적 가족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모든 세대가 가족으로서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하는 통합적 참여 문화를 동시적으로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어야 한다.

교회 공동체가 세대 간의 필요를 이해할 때, 우리는 필요를 충족시키고 하나님이 각자에게 주신 은사를 세대 간에 나누며 그리스도의 몸을 세울 수 있다. 궁극적인 목표는 우리 ”모든 세대“가 예수님을 더 잘 따르기 위해(세대 간 제자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문화를 신앙 공동체가 만들어 가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세대 간 사역이다. 

  세대 간 사역은 프로그램이 아니다. 가정과 교회 그리고 세대와 세대가 함께하는 제자도이다. 그리고 가정과 교회 및 세대와 세대를 연결하는 핵심인 커리큘럼(Milestone)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모든 세대가 제자도에 참여하고 선교에 함께 참여하는 공동체에 의해 정의되는 문화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오늘날 우리 교회에 절실히 필요한 것은 제자훈련 교재가 아니라 세대 간 제자를 세우는 커리큘럼 문화이다. 

”태아에서 성년이 되어 믿음의 가정을 이루기까지 한 번에 한 단계씩 다음 세대를 제자화 할 수 있도록 가정과 교회가 함께 반복하는 문화가 있는가?“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