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패밀리 얼라이브] <분노 이야기 3> 분노의 원인이 되는 불쾌한 일들

<분노 이야기 3> 분노의 원인이 되는 불쾌한 일들

지난 글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분노는 일반적으로 위협, 불공정함 등 우리의 삶에서 부딪히는 크고 작은 불쾌한 일들로부터 시작됩니다. 그 불쾌한 일들은 주로 우리 삶의 경계선을 침범하는 일들과 관련이 있습니다. 경계선이란 ‘한 개인이 자신의 삶에서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설정한 선’이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한 개인의 삶은 여러 측면들이 있기 때문에 경계선의 개념에는 신체적, 시간적, 경제적인 측면들도 있고 그 개인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관이나 대인 관계 등도 관련되어 있습니다. 경계선을 침범하는 일은 단지 기분이 불쾌한 데에 그치지 않고 깊은 상처와 실제적인 손해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신체적 측면에서 본다면 누군가 나에게 물리적 폭력을 가하는 일은 나의 피부 경계선을 침범하는 일입니다. 누군가 나를 주먹으로 때리는 일은 가장 흔한 물리적 폭력이지만 강간이나 성적인 희롱을 포함한 신체 접촉도 물리적 폭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에게 그런 일이 일어난다면 우리는 단지 신체적인 불편함 혹은 아픔만 느끼는 것이 아니라 정서적, 정신적, 심리적인 충격과 상처를 입게 됩니다. 그리고 그 충격과 상처는 억울함, 수치심, 슬픔 등의 부정적 감정을 유발하고 그 후에 분노로 발전하게 됩니다. 

시간적 측면에서 본다면 누군가 내가 설정한 시간의 경계를 넘어 나의 삶에 들어오게 되는 일은 우리에게 불편함과 불쾌함을 가져옵니다. 예를 들어, 잠을 자고 있는 시간에 누군가가 그다지 긴급하지 않은 일로 나에게 전화를 해서 나의 잠을 깨운다면 나는 잠을 설치게 되고 그로 인해 그 날, 혹은 다음 날 하루의 삶이 영향을 받게 될 것입니다. 혹은 잠에서 깬 후에 바로 다시 잠들지 못해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게 되면 짜증이 생기고 나는 긴급하지 않은 일로 밤잠 혹은 새벽잠을 설치게 한 사람에 대해 슬그머니 화가 날 수 있습니다. 

경제적인 측면의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나에게 돈을 빌어간 후에 약속한 기한에 갚지 않는 일이 생긴다면 그 일은 나의 계획을 흔들어 놓게 되고 나의 삶에 영향을 주게 될 것입니다. 혹은 부모님께서 지인을 위해 집을 담보로 보증을 섰는데 그 지인에게 문제가 생겨 가족이 함께 살던 집이 다른 사람의 소유로 넘어가게 되는 일이 발생한다면 가족 모두는 충격과 함께 엄청나게 큰 불편을 겪어야 할 것입니다. 그런 충격과 불편을 겪을 때 우리는 문제를 일으킨 부모님의 지인 뿐 아니라 부모님을 향해서도 원망하는 마음이 생기고 화가 날 것입니다.

가치관의 측면에서는 누군가 나의 생각을 존중하지 않거나 내가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를 폄훼할 때, 또는 내가 불의하다고 생각하는 일을 할 때 우리는 불편한 감정을 느끼게 됩니다. 그것은 내가 가치 있거나 옳다고 생각하는 나의 가치관의 경계선을 침범하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그런 일들은 나에게 실제적인 손해를 끼치는 것은 아니지만 정서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그리고 심리적으로 나의 내면적 평화를 깨뜨립니다.

사회적인 측면에서는 경계선의 개념을 적용하기 쉽지 않지만 누군가가 여러 사람을 상대로 나에 대한 근거 없는 비방을 한다면 나는 그 일로 여러 종류의 손해를 입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 일로 인해 경제적인 손해가 생길 수도 있고 사회적 명예가 실추될 수도 있고 오랫동안 친분을 맺어온 사람들과 관계가 소원해질 수도 있습니다. 그런 일이 있다면 우리는 충격, 당황스러움, 슬픔, 소외감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게 될 것이고 이런 부정적인 감정들은 억울한 마음과 함께 분노로 발전하게 됩니다.

대인 관계 문제는 가족들 간에 생긴 문제와 사회적 관계 속에서 생긴 문제로 나눌 수 있을 것입니다. 대인 관계에서 생기는 불편하거나 불쾌한 일들은 주로 언어 사용과 관련되어 있고 때로는 오해 때문에 분노가 생기기도 합니다. 언어 사용과 관련된 일들은 실제적인 손해를 입히지는 않지만 비난이나 불평, 간섭, 원망이 섞인 말들은 우리에게 정서적, 정신적, 심리적 불편함, 충격, 상처 등을 줄 수 있고 거기에서 발생하는 부정적 감정들은 정신적, 심리적 스트레스와 함께 분노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실제의 삶에 있어서 우리는 가족들과 가장 밀접하고도 빈번한 상호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어쩌면 불편함, 부정적 감정, 분노 등을 가장 자주 경험하는 대상은 가족들일 것입니다. 특히 부모나 자녀 및 배우자는 서로에 대한 사랑과 기대가 함께 얽혀 있기 때문에 상대방이 자신의 기대와 다른 행동을 하거나 다른 반응을 보일 때 실망감을 경험하게 되고 그 실망감이 분노로 발전하는 일들이 종종 발생합니다. 그러므로 가족 관계에서는 가깝다는 이유로 상대방의 감정이 상할 수도 있는 말들을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 우리는 배우자 사이에도 예절을 지키고 자녀들이 비록 어릴지라도 그들의 인격을 존중하면서 말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가까운 사이에서는 경계선을 침범하는 것에 대해 대수롭지 않은 일로 생각할 수 있는데 아무리 허물없이 가까운 사이라고 하더라도 상대방의 경계선을 존중해야 관계를 지속적으로 평화롭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분노를 일으키는 불쾌한 일들은 여러가지 다양한 영역에서 예기치 않게 찾아옵니다. 불쾌한 일들에 부딪혔을 때 부정적인 감정과 함께 분노가 생기는 것은 자연스러운 반응일 수 있지만 우리가 서로 상대방의 경계선을 존중한다면 많은 경우 서로 불쾌한 부정적 감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울러 분노감정을 비롯한 불쾌한 부정적 감정들을 다루는 법을 익힌다면 우리의 삶을 평화롭게 유지하는 데 큰 힘이 될 것입니다. 

박진경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객원교수, Family Alive 대표, 홈페이지: www.familyalive.ca, 이메일: inquiry@familyalive.ca)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